반응형

 

코로나 경제 위기에도 주식, 가상화폐

투자 인기는 식을 줄 모르는 가운데

새로운 신조어도 많이

탄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늘은 주식 신조어 흑우뜻에

대해서 알아보자

 

  흑우뜻 흑우 뜻  

 

흑우는 호구를 뜻하는 말로

발음을 쉽게 표현하다가

호구→혹우→흑우라고 쓰이고 있다

주식에서 무리한 투자로인해 손해를 보고

멘탈이 붕괴된 상태나 마무생각없이 투자하는

사람을 흑우라고 표현한다

 

흑우의 또다른 뜻으로는

털의 빛깔이 검은 소를 말한다

 

흑우는 총 두가지 뜻을 가지고 있으며

요즘은 검은 소 보다는 주식에서

호구의 뜻을 가진 흑우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코로나로 어려운 요즘 투자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 주린이, 개미투자자 분들이

흑우하지 않고 모두 수익 실현하는 성투하시길!

 

 

이상 흑우뜻 정리 끝!

 

 

반응형
반응형

 

신조어로 자주 쓰는 존버뜻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상생활에서 한번쯤 들어본 존버는

특히 유트브나 각종 커뮤니티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다

 

그럼 정확한 존버뜻 의미 알아보자

존버라는 뜻은 가상화폐 비트코인붐이

한창 일어날 때 탄샌한 신조어라고 한다

 

  존버뜻 존버 뜻  

존버뜻은 비속어가 섞여있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X나 버티자의 줄임말이라고 한다

 

지금은 비록 떨어져 속실을 보고 있지만

힘든 시간을 버티고 버티다보면 언젠간

오른다는 의미를 가진 존버뜻

 

코로나 시대로 유난히

어려워진 경제 시국에

존버뜻은 의기투합해서 힘든 시간을

이져내자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이상 존버뜻 정리 끝!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익절뜻에 대해서 알아보자

 

  익절뜻  

더할 익, 끊을 절을 사용하고 있는 익절뜻은

주식을 할때 어느 정도의 적정선에서

수익을 실현되었고 앞으로 하락하거나

더 상승하거나를 떠나

일단 수익을 챙기는 행위를 말한다

 

손절과는 반대의 의미로 사용되며

늘 익절만 하는 일들이 왔으면!!!

 

주식시장에서 익절은

매우 중요한 투자 원칙이며

기본적인 투자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문제는 익절이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라는 사실!

조금만 수익이나면 줄때

수익 실현하고 나와야지 생각보단

더 오를거라는 욕심에 늘

눈앞에서 수익을 놓치고 만다

 

 

이익을 내는 건 무한대적이지 않고

상승만하는 주식시장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조정기간을 거치게 된다거나

하락시장이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들 익절만 하시길~~~

 

이상 익절뜻 익절 뜻 정리 끝!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손절뜻에 대해서 적어보려한다

 

손절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단어인데

정확한 손절뜻과 유래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보자

 

최근 코로나 사태로

힘든 주식시장을 살린건 일반 개미

일명 동학개미운동사건이 있었는데

최근 젊은 층과 주식시장에서 유행하는 손절

 

손절뜻은 총 2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손절뜻 손절 뜻  

앞으로 주식 주가가 하락하는 것을 예측해

가지고 있던 주식을 매입 가격 이하로

손해를 감수하고 파는 일이며

손해를 잘라내다는 유래에서 온 말이다

 

또는 대를 이을 자손이 끊어졌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요즘은 일상에서 상대방과

인연을 끊었다는 손절뜻으로

'손절했다', '손절 당했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손절뜻을 보면 어떤 의미에서건

부정적인 의미로  팔거나 끊어내는

함축적인 의미를 담고있어

100% 좋다는 말은

아니라는걸 알 수 있다

 

다들 손절하는 일 없길!!!!!

 

이상 손절뜻 손절 뜻 정리 끝!

 

반응형
반응형

각종 커뮤니티에서 볼 수 있는

페미라는 단어를 볼 수 있는데

꼭 페미라는 단어만 나오는 기사나 뉴스에선

논쟁이 분분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오늘은 페미뜻과 페미니스트

페미니즘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성차별로 인해 발생하는 사건으로

여성문에 대해서 연구하고 여성 성차별

문제를 개선하는 성향의 사상을

페미니즘이라고 말한다

 

주로 여성 인권이 보장되지 못하고

열악한 국가에서 주로 등장하는 단어로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성차별적 사건이

일어날때 마다 큰 이슈를 불러오기도 한다

 

페미니스트는 페미니즘 주의 사상을

가진 사람들을 따르거나 페미니즘과

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칭하는 말이다

 

페미니스트는 아버지의 성만

물려받는 것을 부당하다 하여

어머니의 성을 이름에 넣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페미뜻 페미 뜻  

 

페미는 라틴어 페미나에서 파생된 말로

페미니즘 또는 페미니스트의

줄임말로 사용되고 있다

 

페미니즘 사상을 따르거나 주장하는

사람을 페미라고 말하고 있으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페미니즘 즉 성차별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 문화, 경제적, 정치적 차이 등

모두 해결해야 한다는

견해로 정의하고 있다고 한다

 

간단히 설명하면 페미뜻 즉 페미니즘은

남성 중심적인 세계관에서 여성해방운동을

벌이는 일이며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받던 여성들의 권익신장에 대해

요구하는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현재 페미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사건에

늘 이슈와 사회적 문제가 따르는 이유는

페니니즘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남자 여자 성평등의 목적을 두지 않고

무조건적인 여성 우월주의나

남성에 대한 혐오주의로서

변질되어 비치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적 문제는 메갈리아, 워마드 같은

극심한 남성 혐오를 주장하는 사이트

유저들에 의해 퍼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제 페미뜻은 단순히 여성 주의 보다는

무조건적인 남성 혐오나 국가의 원수라는

말까지 나오는 만큼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가져오는

사건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상 페미뜻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정리 끝!

 

 

 

 

반응형
반응형

요즘 잼민이들 사이에서 많이 쓰는

신조어로 쌉 또는 쌉가능 말을 자주하는데

정확한 쌉뜻 쌉가능뜻 모르는

분들을 위해 정리해본다

 

정확히는 몰라도 대충 어떤 뜻으로

말하는지는 아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꽤 많은 분들이 정확한 뜻을 모르시더라구요

 

우선 쌉이라는 단어는 '매우',

'가장 많이', '완전'과 같은 의미로

완전을 강조해서 쌉이라고 표현한다

 

 

  쌉가능뜻  

완전을 강조하는 접두어로

통영되는 삽과 가능이라는

단어의 합성어로 완전 가능한

상태의 신조어

 

이렇게 앞에 쌉을 붙여 쓰이는

단어로는 쌉가능, 쌉인정,

쌉소리 등이 있다

 

쌉이라는 쌍시옷발음이 들어가

비속어로 생각하는 분들도 있지만

비속어보다는 좀 더 강력한 긍정을

표현하고 싶을때 쓰는

단어라고 말할 수 있다

 

왁벽하게 가능하다라는 뜻의 쌉가능!

 

이상 쌉가능뜻 정리 끝!

반응형
반응형

 

뉴스나 언론기사를 보면 한번씩

등장하는 법률에 관한 용어들이

나오는데 명확한 뜻을 몰라서 쉽게

이해하기 어렵운적이 있다

 

오늘은 법률용어 중에서도

기각뜻에 대해서 알아보자

 

  기각뜻  

기각은 한자뜻으로 보면 버릴 기에

물리칠 각을 쓰며

소송을 수리한 법원에서 소나 상소가

형식적인 요건은 갖추었지만

그 내용이 실체적으로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소송을 종류하는 일을

기각이라고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기각뜻은

법원 재판을 요청했음에도 재판이

받아들이지 않을때를 말한다

 

사회면에서도 특히 대기업 오너들이나

재판관련 기사에 자주 나오는 기각

 

법률에 관련된 용어는 많이 듣고

보기는 하지만 쉽게 알아듣을 수 없는

것들이 많아서 이렇게 한번씩 정리하면서

하나하나 알아가는 것도 좋은거 같다

 

이상 기각뜻 정리 끝!

 

반응형
반응형

사회/경제면에 자주 등장하는

각하는 무슨말일까?

 

각하는 법률드라마에서도

자주 나오는데 법률용어로 알고있는

각하뜻 정확하게 알아보자

 

일반인은 평소 자주 사용할 일없는

각하라는 단어는 경제기사면에서 보면

문맥상은 짐작해서 이해할 수 있지만 

각하뜻에 대해서는 찾아보지

않으면 정확히 알 수 없으니

이참에 찾아보다가 정리해본다

 

  각하뜻  

각하는 법률용어로 소송법상

당사자가 소송을 신청했을때 법원에

부적법 이유로 배척하는 재판을 뜻하는 말이다

쉽게 말해서 소송이나 재판을

신청할때 형식적으로 부적법하면

접수를 거부당한다는 말로 각하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각하가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몇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이미 소송이 대법원 판결까지

끝났지만 인정하지 않고

같은 사건으로 소를 제기하는 걸

각하라고 한다

 

또 인적사항이 결여하거나

형식미비에 의해 추가 보완이

요청했음에도 응하지 않을 때

각하하게 된다

 

쉽게 정리한다고 했는데

법률용어는 언제나 어렵다

 

이상 각하뜻 정리 끝!

 

 

반응형

+ Recent posts